교육은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
교육은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
  • 도움뉴스 기자
  • 승인 2019.07.29 12: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글 육동일 충남대 교수
사진 육동일 충남대 교수
사진 육동일 충남대 교수

 

교수의 직급은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정교수 순으로 나뉜다. 요즘은 교수 승진이 엄격해졌지만, 그 전에는 시간이 지나면 큰 무리없이 승진이 되었다. 그래서 이런 말이 있다. 전임강사 시절에는 누구도 모르는 내용을 혼자 아는 양 가르치려 한다. 조교수가 되어도 본인이 아는 것 이상으로 가르치려 하다가, 부교수가 돼서야 비로소 본인이 아는 것만 가르치게 된다. 경륜이 쌓여 정교수가 되고 나서야 학생들이 이해하는 것만 가르친다고 한다. 그만큼 교수가 학생들이 이해하도록 가르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런데 한 5,6년 전 어느날 인가 부터 나는 도대체 교수로서 학생들에게 무엇을, 왜 가르치려 하는지에 대해서 회의와 고민에 빠지기 시작했다. 학생들보다 조금 먼저 알고 있는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단순한 지식의 전달자 같은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새로운 정보를 모두가 동시에 공유하는 인터넷 시대에 그런 교수는 더 이상 설 자리가 없다. 지난 30여년 동안 만난 많은 제자들은 물론 여러 외부 강의와 다양한 언론 활동을 통해서 내가 전달하고 가르치려고 했던 것은 무엇이고, 무슨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나름대로의 정립이 절실히 필요하게 된 것이다. 많은 고민과 생각 끝에 가르침과 배움의 목표와 의미에 관해 세가지로 정리하게 되었다.

우리가 교육을 통해 가르치고 또 배우는 목적은 단순히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다. 더 근본적인 목표와 의미가 있다. 그것은 나 자신이 얼마나 잘 모르는가를 정확히 알기 위함이다. 그래서 첫 번째 교육의 목표는 겸손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다. 우리 인간은 격이 있다. 인간을 격으로 나누는 기준이 바로 인격(人格)이다. 요즘 대부분의 젊은이들은 외모를 가지고 격을 나눈다. 그러나 인간의 격을 나누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내적인 아름다움, 즉 교양이다. 교양을 가진 사람이 진정으로 아름다운 사람이다. 이 교양은 끊임없는 배움을 통해서만 연마되는 것이다. 교양있는 사람만이 진정으로 겸손해질 수 있다. 배울수록 본인의 무지를 깨닫고 인정하는 용기가 생기기 때문이다.
 

 

두 번째가 사랑이다. 사랑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다. 그 사랑의 대상은 인간일 수도 있고 자연일 수도 있고 또 진리에 대한 사랑일 수도 있다. 그래서 나도 교수로서 지방자치와 지역발전에 대해 오랫동안 연구하고 가르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지역에 대한 사랑, 지역주민에 대한 사랑 또 그것과 관련된 진리에 대한 사랑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우리가 아무리 많이 배워도 그것을 사랑할 줄 모르면 그 지식은 별로 유용하지 않다. 많이 배워서 좋은 직업을 가져도 행복하지 않다. 지역을 발전시키려면 지역에 대한 사랑이 있어야 하고, 주민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일을 하려면 지역주민에 대한 사랑이 있어야 된다. 그렇지 않으면 그 노력들이 결코 행복감으로 느껴지지 않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교육목표가 바로'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다. 정보의 홍수시대에는 지식과 정보가 넘쳐나는 한편 끊임없이 바뀐다.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유익한 지식과 정보도 시간이 지나면 쓸모없는 것이 되고 만다. 그런데 사람들은 대개 한 번 자기 머릿속으로 들어온 지식과 정보를 잘 버리지 않으려고 한다. 더 이상 유용하지 않은 낡은 지식과 정보에 집착한다면 그것은 곧 편견과 독단이 되고 만다. 제대로 배우려면 일단 기존의 모든 것을 내려놓고 비워야 한다. 그래야 양질의 새 것이 채워진다. 따라서, 미래지향적 안목과 균형적인 시각에서 세상과 현상을 볼 수 있도록 생각하는 방법과 틀을 자기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교수는 한쪽의 시각만을 편향적으로 정리해서 가르쳐서는 안된다. 학생들도 독단적인 교수나 선배로부터 일방적으로 물려받은 생각의 틀을 검증없이 무조건 수용해서도 안된다. 항상 열린 마음을 가지고 다양한 남의 얘기를 귀 기울여 듣고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결국, 스스로 생각하는 방법과 틀을 각자 정립해서 사회현상을 제대로 분석, 판단한 후 합리적이고 책임있는 행동을 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교육의 진정한 목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그것이 오랜 교수 겸험을 통해 터득한 나의 교육철학이자 교수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