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과 글을 아끼고 사랑해야 하는 이유
우리말과 글을 아끼고 사랑해야 하는 이유
  • 도움뉴스 기자
  • 승인 2019.10.07 09: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글 손채화 중원대학교 한국어강사
사진 김용복 극작가
사진 김용복 극작가

 

  10월 9일은 573돌을 맞는 한글날이다. 세종대왕이 1443년 12월에 문자를 만들고, 그 후 3년만인 1446년 음력 9월에 <훈민정음 訓民正音>이라는 이름으로 반포하였다. 훈민정음이 만들어지기 전에 우리 조상들은 지금과 비슷한 말을 썼겠지만 그 말을 적을 수 있는 글자가 없었기 때문에 중국의 한자를 빌려서 써야했다.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 서로 통하지 않아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제 뜻을 전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아 이를 가엾게 여겨 직접 만드셨다.

  훈민정음은 자음 17자와 모음 11자 총 28자로 구성되었다가 세월 속에 쓰임새가 줄어든 4자를 제외하고 현재는 24자만 사용되고 있다. ‘한글’이란 이름은 1908년 ‘국어연구학회’를 조직한 주시경 선생을 비롯한 학자들이 처음 부르기 시작했고 ‘한’은 크다는 뜻을 나타내므로 한글은 곧 ‘큰 글’이라는 의미이다.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와 자음·모음의 음가(音價) 및 운용법이 담겨져 있는 <훈민정음해례본>은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어 고문서(古文書)로서 가치를 인정받았고 세계의 언론석학들은 우리 한글을 인류 최고의 문자로 손꼽고 있다.

  요즘 우리 일상에서 사용하는 말과 글을 살펴보면 무분별한 신조어 사용과 외국어, 은어, 비속어 등이 너무 난무하고 있다. 인터넷이나 누리소통망(SNS)에 난해한 형태의 글자가 나타나고 있고, 아파트의 명칭이나 판매장(販賣帳) 간판은 대부분 외국어로 되어있어 한글로 된 간판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또한 언론이나 방송에서도 마찬가지다. 우리말 사용이 가능한 것도 영어로 사용하고 있다. 이 뿐만이 아니다. 젊은 세대의 언어는 어른들이 알아듣지 못해 언어 소통이 되지 않는다. 그로인해 세대 간 갈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국어 어휘를 보면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로 나눌 수 있다. 고유어는 순수 우리말로서 사전 등재를 기준으로 보면 전체 어휘 가운데 26%정도에 달한다. 한자어는 한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단어로 59%정도로 제일 많고, 외래어는 원래 외국어였던 것이 국어체계에 동화되어 사회적으로 그 사용이 허용된 단어로서 15%정도를 차지하지만 세계화에 발맞춰 점점 증가 추세에 있다.

  시대 상황에 따라 끊임없이 나타나는 신조어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국제화 추세에 영어도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우리말보다 우선시하는 경향은 경계되어야한다. 무분별한 신조어와 외국어 사용은 다시금 생각해 봐야할 시점이다.

  우리 속담에 ‘남의 논을 거쳐 흐른 물이 내 논의 벼를 길러 수확한다.’라는 말이 있다. 우리의 전통적인 것과 지켜온 것을 잘 가꾸고 그 바탕 위에 새로운 창의성을 가미하여 한층 풍요로운 수확을 거두어야한다.

  말과 글은 그 나라 그 민족을 다른 어느 것과 구별하는 핵심적인 기능을 한다. 한국어로 말하고 듣고, 한글로 읽고 써서 서로의 의사를 소통하며 같은 정서를 느끼고 살기에 우리는 한국인이라 자랑스럽게 말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모음과 자음 24자만 알면 세상의 모든 것을 다 담을 수 있기 때문에 우리말, 우리글을 더 사랑하고 아껴야 할 이유이다.

  다시 맞는 한글날을 즈음하여 세종대왕의 거룩하신 뜻을 되새겨 위대한 유산인 한글을 바르고 곱게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