괄목상대(刮目相對)의 교훈
괄목상대(刮目相對)의 교훈
  • 도움뉴스
  • 승인 2019.03.24 13: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글 병역명문가 염재균/수필가

 

 

 눈을 비비고 다시 보며 상대를 대한다는 뜻으로, 상대방이 자기가 알던 그 사람이, 학식이나 재주가 놀랄 만큼 변한 모습을 보고 깜짝 놀라 눈을 비비고 다시 보며 대한다는 말이다. 옛날에 어렸을 때는 배우지 못해 남들이 알아주지 못했으나 어떠한 계기를 기회로 삼아 학식이나 재주를 갈고 닦아 훌륭해진 모습으로 변해 상대방이 다시 보며 대한다는 의미의 괄목상대는 시민대 재미 있는 고사 성어(지도교수: 장상현)반에서 배웠다.

삼국지 오서 여몽전(三國志 吳書 呂蒙傳)에 나오는 이야기로 오나라의 군주인 손권(孫權)과 장군 여몽(呂蒙)의 학문을 위한 노력의 일화에서 시작된다.

()나라의 장군 여몽(呂蒙)은 글공부는 한 적이 없었다. 어느 날 손권(孫權)이 여몽과 장흠(藏欽)에게 공부를 하라고 권면(勸勉)하는 말을 하자 여몽이

군중(軍中)의 많은 업무도 힘든데 책 읽을 짬이 날지 모르겠습니다.”라고 답하자 손권의 훈계(訓戒)가 이어졌다.

이제 와 경이 박사가 되기를 바라겠는가? 그저 옛일을 두루 알길 바라오. 경이 일이 많다 하는데 나만 하겠는가? 나는 어린 시절 역경을 제외하고 시경, 서경, 예기, 춘추좌씨전, 국어, 춘추외전을 보았소. 형 손책(孫策)의 뒤를 이은 후로도 삼사인 사기, 한서, 동관한기와 여러 병서를 살핀 것이 많은 도움이 되었소. 두 사람은 머리가 좋아 일단 공부하면 빠르게 익힐 텐데 어찌 하질 않는가? 어서 손자병법, 춘추좌씨전, 국어와 삼사를 읽어야 하오. 공자께서도 종일 먹지도, 자지도 않고 사색하는 것은 무익하며 배우는 것보다 못하다.”하였소. 광무제(光武帝)는 군무를 보면서도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고, 조조(曹操) 역시 늙어서도 배움이 좋다 하였소. 그런데 경은 왜 노력을 안 하는가?”

여몽이 비로소 학업에 열중해 그 경지(境智)가 옛 학자들을 뛰어 넘었다.

주유가 죽은 후, 주유를 대신하여 도독(都督)이 된 노숙(魯肅)이 육구(陸口)로 가는 길에 여몽의 군영을 지나게 되었다. 노숙은 마음속으로 여전히 여몽을 경시(輕視)하고 있었는데, 어떤 사람이 노숙을 설득했다.

여장군의 공명이 나날이 빛나고 있으니 마음대로 대하면 안 됩니다. 가서 보는 게 좋겠습니다.” 노숙은 여몽을 찾아갔다. 술자리가 한창일 때 여몽이 노숙에게 말했다.

당신은 중책을 받아 관우와 이웃하게 되었는데, 어떤 계략(計略)으로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비하고 있습니까?” 그러자 노숙은 엉겁결에 대답했다.

때에 임하여 적당한 방법을 택할 것이오.” 여몽이 말했다.

지금 동쪽()과 서쪽()은 한 집안이지만, 관우는 사실 곰이나 호랑이 같은 사람입니다. 계획을 어찌 미리 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까?” 그리고 노숙을 위해 다섯 가지 계책을 그렸다. 노숙은 이때에 자리를 넘어가 여몽에게 가까이 가서 그의 등을 치며 말했다.

여자명(呂子明, 여몽), 나는 그대의 재략(才略)이 이 수준까지 미쳤는지 몰랐소.” 노숙이 여몽의 등을 토닥거리며 말했다.

나는 이제껏 그대가 무술만 아는 줄 알고 있었는데, 지금 보니 그대의 학문이 뛰어난 것이 이미 옛날 오() 지역의 시골구석에 있던 아몽(阿蒙)이 아니구려.” 여몽이 말했다.

선비는 모름지기 여러 날을 떨어져 있다가 만나면 눈을 비비고 다시 봐야할 정도가 되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상대방의 학식이나 재주가 놀랄 만큼 현저히 향상될 때에 눈을 비비고 다시 보며 대한다는 괄목상대라 할 수 있는 인물이 고구려의 평강왕 때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보온달을 들 수 있다.

천하 바보처럼 보였지만 심성이 착해 가난함에도 어머니를 극진히 모시고 사는 온달은 우여곡절 끝에 지혜롭고 총명한 아내인 평강공주를 만나 신분이 부마(駙馬)로 급상승함과 동시에 아내인 공주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글을 배우고 무예를 익혀 예전과는 다른 용맹스러운 장군이 되어 전쟁 시 앞장서서 많은 공을 세워 백성들이 우러러 보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우리는 어떠한 일을 하든 목표를 설정한 뒤 계획을 세워 충분한 검토와 실행가능여부를 판단한 후에는 성취하겠다는 도전정신(挑戰情神)과 중도에 포기하지 않는 실천의지를 가져야 한다. 모든 일은 집중(集中)하여 노력하면 이루지 못하는 것이 거의 없을 것이다. 목표를 성취했다고 해서 자만(自慢)에 빠지지 말고 계속해서 노력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그 반대로 더 이상의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모두의 기억 속에서 사라지고 나락(奈落)의 길로 빠지게 된다.

豪釐之差 千里之繆(호리지차 천리지류)

처음에는 터럭만큼의 차이가 나중에는 천리만큼 멀어진다는 뜻으로, 시작하는 시점에서는 별 차이가 없지만 노력을 계속하느냐, 도중에서 멈추거나, 다른 길로 빠지거나 시작도 하지 않는다면, 나중에는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는 말이다.

남의 학식(學識)이나 재주에 놀랄 것이 아니라 스스로 목적의식을 갖고 남으로부터 존경받을 수 있도록 배전(倍前)의 노력을 계속한다면 나 자신이 괄목상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사진 김용복 극작가
사진 김용복 극작가